장소성, placeness, 장소감, sense of place, 장소정체성, place identity (업데이트 중)

장소성, placeness, 장소감, sense of place, 장소정체성, place identity (업데이트 중)

Neuroarchitecture study group’s monthly seminar 10월 참석 후 여러 이어 갈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그 전에 내게는 낯선 용어이지만 중요한 개념인 ‘placeness’를 살펴야 하겠기에 검색한 내용 일부를 일단 적고 정리는 시간 나는 대로 이어 하기로.


“하이데거적 장소성과 도무스의 신화”

https://blog.naver.com/archidemia/221548906050

이 분께서 같은 제목으로 내신 책이 있어 그 출판사 “아키텍스트”의 정보를 찾으니 “공간”지에서 이를 “아키텍스트는 건축 전문지 등에 소개된 동시대 저자의 글을 하나의 주제로 엮어내는 출판사”라 소개한 것이 보인다. 아키텍스트의 웹사이트는보이지 않아 그 책 정보는 교보문고의 것으로 대신한다.

ISBN: 9788998573119 ( 8998573113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60623390

서언: 공간에서 장소로

공간이야말로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다른 이유를 차치하더라도 비움의 공간이 건축의 쓸모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건축의 실체가 공간임을 수백 년 전에 이미 중국의 노자가 선포했다고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가 주장했던 레토릭은 흥미롭다.1 근대적 의미에서 공간을 건축의 핵심적 속성으로 보고 논의를 전개시킨 것은 고트프리트 젬퍼Gottfried Semper, 아우구스트 슈마르조August Schmarsow 등 19세기 독일의 저술가들이었다. 라이트를 비롯한 대부분의 모더니스트 건축가들이 공간을 주요 화두로 삼았던 것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고 하겠다. 근대 건축사의 캐논으로 간주되던 지그프리트 기디온 Sigfried Giedion의 『공간, 시간, 건축』(1941)이 공간을 강조한 바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20세기 후반 국제주의적이고 기능주의적인 근대 건축이 공격을 받게 되는 가운데, 공간의 추상성은 그 비판의 타깃이 되곤 했다. 데카르트적 공간이 함의한 균질성과 무한 확장성이 각 지역의 장소성을 외면하며 전 세계를 동질화시키는 주범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9페이지, 김현섭)

건축 거주 사유
우리는 다음에서 거주와 건축에 관해 사유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건축에 관한 사유는 건축의 논리를 찾아내거나 혹은 심지어 건축에 규칙을 부여하려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서 시도하는 사유는 건축을 건축예술과 기술로부터 서술해 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건축이 속하는 존재의 영역으로까지 건축을 추적하려고 한다.
이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질문한다.

거주란 무엇인가?

건축은 어느 정도까지 거주에 속하는가?
우리가 거주를 목적으로 한다면 우선 건축을 통해야 비로소 도달할 것처럼 보인다. 전자, 즉 건축은 후자, 즉 거주를 목표로 삼는다. 그런데 모든 건축물이 주거 건물은 아니다. 다리, 비행장, 경기장, 발전소는 건축물이긴 하나 주거 건물은 아니다. 기차역, 고속도로, 댐, 시장 등도 건축물이긴 하나 결코 주거 건물은 아니다. 그렇지만 위에서 언급한 건축물들은 우리가 거주하는 영역 안에 서 있다. 이 영역은 이 건축물들의 바깥으로 확장되어 있지만, 거꾸로 이 영역을 주거로 한정할 수도 없다. 트럭 운전사는 늘 고속도로에서 일한다.

(45페이지, 마르틴 하이데거)

장소의 현상
우리의 일상적 삶은 구체적인 ‘현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사람으로, 동물로, 꽃과 나무와 숲으로, 돌과 흙과 나무와 물로, 마을과 거리와 집들과 문과 창과 가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것은 해와 달과 별들로, 흐르는 구름으로, 밤과 낮과 변화하는 계절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느낌과 같이 뭐라 꼭 꼬집어 말할 수 없는 더 많은 현상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주어진 것’, 즉 우리 실존의 ‘내용’이다. 그래서 릴케는 “여기서 우리는 집, 다리, 분수, 입구, 주전자, 과일 나무, 창문, -기껏해야 기둥, 탑을 말해야 할 것이다”1라고 말한다. 그 밖의 모든 것, 예컨대 원자와 분자, 숫자, 그리고 모든 종류의 ‘데이터’는 일상적 삶의 도구와는 다른 목적에 봉사하도록 구축된 추상물 혹은 도구이다. 오늘날 도구를 실재로 착각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우리에게 주어진 세계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것들은 복잡하면서도 아마도 모순되는 방식으로 상호 연관되어 있다. 가령 그 현상들의 일부는 다른 것들로 이루어질 것이다. 숲은 나무들로 이루어져 있고, 도시는 집들로 이루어져 있다. ‘풍경’은 그런 포괄적인 현상이다.

(87페이지, 크리스티안 노르베르그 슐츠)

홍성희, 박준서, 임승빈. (2011). 장소성 정의 및 개념 연구 . 한국경관학회 학술발표대회, v.2011(n.1), 39-52.

https://www.auric.or.kr/User/Rdoc/DocRdoc.aspx?returnVal=RD_R&dn=314111

위 논문은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AURIC) https://www.auric.or.kr/ 에서 찾았는데 이곳에는 읽은 이들이 평을 적을 수 있구나. 자신의 공부,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었고 고맙다는 평들이 적혀 있다.


서동진, 김주연. “장소정체성을 위한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 비교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 17, pp.263-273, 2022.

Seo Dongjin, Kim Jooyun. “A Comparative Study of the Multi-Meaningful Concept of Placeness for Place Ident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vol. 17, pp.263-273, 2022.

https://kiss-kstudy-com-ssl.openlink.knsu.ac.kr:8446/thesis/thesis-view.asp?key=3946672


홍성희, 박준서, 임승빈. “환경계획ㆍ설계를 위한 장소성 개념 연구: ‘Sense of Place’와 ‘Placeness’ 용어 비교 분석”. 한국경관학회지, vol. 3, pp.14-29, 2011.

Hong Sung Hee, Park Joon Seo, Im Seung Bin. “A Study on the Concept of ‘Sense of Place’ for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Journal of the Korea Landscape Council, vol. 3, pp.14-29, 2011.

https://kiss-kstudy-com-ssl.openlink.knsu.ac.kr:8446/thesis/thesis-view.asp?key=3660911

place authenticity, place memory

내 이런저런 작은 장치들의 충전 (계속 업데이트)

내 이런저런 작은 장치들의 충전 (계속 업데이트)

장치들

Jabra Talk 55

https://www.jabra.com/bluetooth-headsets/jabra-talk-55

Techsheet의 battery 부분

  • 통화 시간: 최대 10시간 (헤드셋에서 최대 3시간, 충전 케이스로 최대 7시간)*
  • 대기 시간: 최대 72시간 (헤드셋만), 최대 7일 (헤드셋이 충전 케이스에 도킹됨)*
  • 대기 시간 연장을 위한 Power Nap 기능: 최대 7일*
  • 충전 시간: 헤드셋 충전만 약 2시간, 헤드셋과 충전 케이스 함께 충전 시 약 3시간
  • 충전 케이블 표준: USB-B 커넥터 (30cm)
  • 배터리 충전 전류: 30mA (헤드셋), 170mA (충전 케이스)
  • USB 충전 케이블: 5V 300mA

Bose QuietComfort Earbuds

https://www.bose.com/en_us/products/headphones/earbuds/quietcomfort-earbuds.html

Battery

  • Battery life: Up to 6 hours
  • Earbud battery charge time: 2 hours
  • Charging case battery charge time: 3 hours
  • Quick-charge time: 15 minutes for 2 hours
  • Battery charge method: USB-C or Qi certified wireless charging pad
  • Battery type (earbud): Lithium-ion (metal-enclosed coin cell)
  • Battery type (case): Lithium-ion (pouch cell)
  • Automatic on/off feature to preserve battery life

Charging case Input: 5V 1.2A, output: 5V 0.22A 두 개

충전기, USB power adapter들

USB 3.2 Gen 1 4-Port hub

https://www.acttomall.com/product/스피드업-usb-30-허브-hub-33/312/category/73/display/1/

주의사항 중 충전에 관한 내용 일부

  • Tablet PC에 대해서는 충전 불가, 데이터 전송 가능
  • Power adapter를 사용하는 경우 총 전력이 4A를 넘지 않도록 한다.
    4A 초과하는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장치를 연결해 사용하면 그 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전력: 네 포트 모두에 장치를 연결하여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총 2A, 한 포트만 사용할 때 2A

CipherTrace’s “Crime and Anti-Money Laundering Report” 2022-10

CipherTrace’s “Crime and Anti-Money Laundering Report” 2022-10

In CipherTrace’s latest Cryptocurrency Crime and Anti-Money Laundering Report, we look back at those volatile few months, zeroing in on the quarter’s most important trends, news stories and global regulatory changes. For this report, our second since being acquired by Mastercard, we’ve added a new regular feature: a granular analysis of regional- and country-level activity that highlights key regulatory updates and law enforcement efforts.

“Battling crypto crime around the world: A look at the fight against theft and fraud in a challenging market”, Dave Jevans, 2022-10-02 https://ciphertrace.com/battling-crypto-crime-around-the-world-a-look-at-the-fight-against-theft-and-fraud-in-a-challenging-market/

The report is available here: https://ciphertrace.com/crime-and-anti-money-laundering-report-october-2022/

Cutting nippers and diagonal pliers

Cutting nippers and diagonal pliers

Wire cutting 위한 공구로 우리나라에서 보통 니퍼, 뻰찌라고 하는 것들이 서로 구분되는 공구들인지 같은 것인데 이름이 다른 것인지 궁금하여 검색.

Wikipedia에서 diagonal pliers를 찾으면 (https://en.wikipedia.org/wiki/Diagonal_pliers) 이것이 철사 따위를 자르를 목적으로 쓰는, 바로 그 공구이거나 그런 것들 중 하나로 보인다. 설명을 일부 가져오자면:

… (also known as wire cutters, diagonal cutting pliers, diagonal cutters, side cutters, dikes or Nippy cutters) …

Diags or dikes is jargon used especially in the US electrical industry, to describe diagonal pliers. “Dike” can also be used as a verb, such as in the idiom “when in doubt, dike it out”.

In the United Kingdom and Ireland, diagonal plier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snips or nippers, and in Canada, Australia and New Zealand they are often referred to as side cutters.

그런데 이 페이지에 대한 한국어 페이지를 열면 ‘니퍼(공구)’ 페이지가 열린다. https://ko.wikipedia.org/wiki/니퍼_(공구)

나무위키의 플라이어(plier) 페이지(https://namu.wiki/w/플라이어)는 플라이어의 종류를 니퍼, 펜치(combination plier, lineman’s plier), 롱노즈 플라이어(long-nose plier, needle-nose plier), 트위스터(twister)로 구분하여 설명하는데 펜치의 설명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다:

니퍼보다 규격이 커서 전선을 절단할 때 힘이 덜 들기 때문에 포설 등의 작업을 하는 사람에겐 니퍼보다 더 애용되는 공구이다. 물론 진짜로 굵은 것을 잘라야 할 때에는 니퍼든 펜치든 답이 없기 때문에 볼트 커터 혹은 절단기를 사용해야 한다.

PDF editors

PDF editors

개인적으로 Adobe CC를, KNSU 지원으로 Adobe Acrobat Pro를 사용하고 있고 PDF 만큼은 그 개발자이면서 소프트웨어 개발력이 뛰어난 Adobe 것이 가장 좋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그래도 다른 소프트웨어들을 계속 살피게 된다.

열심히 골라 선택한것은 아닌, 몇 다른 PDF 도구들을 쓰면서 만족스럽지 못했기 때문에
MobiSystems의 OfficeSuite를 쓰다 보니 자연히 쓰게 된 이들의 PDFExtra가 우연히 써 본 것 중에는 나쁘지 않아 유료 플랜을 살폈다.
더 나은 것을 찾다가 PDF editor들을 평가한 글들을 보고 있다.

techradar가 https://www.techradar.com/best/pdf-editors에서 매긴 순위 중 상위 다섯은

  1. Adobe Acrobat DC – Best overall PDF editor
  2. Nitro PDF Pro – Best PDF editor for beginners
  3. pdfFiller – Best PDF editor for online collaboration
  4. EaseUS PDF Editor – Best PDF editor for Windows only
  5. Foxit PDF Editor – Best PDF editor for the compliant-conscious

PCWorld가 https://www.pcworld.com/article/407214/best-pdf-editors.html에서 매긴 순위는

  1. Adobe Acrobat Pro DC – Best overall
  2. Nitro PDF Pro – Best overall runner-up
  3. Swifdoo – Best budget option
  4. PDF Candy – Best free option
  5. PDF Expert – Best full-featured editor for Apple devices

둘 다 PDFExtra는 꼽지 않았고 안정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은 Nitro PDF Pro https://www.gonitro.com/.
써 보세.

잠실은 누에를 키우는 곳

잠실은 누에를 키우는 곳

iPhone 14들의 주문일, 출시일이 공개되었다 하여 apple.com/kr에 들어가니 이런 화면이 보인다.

“Apple ‘잠실'”점 소개에 “‘비단’처럼 펼치다”라는 표현을 써
‘잠실’의 ‘잠’ 자가 ‘누에 蠶’ 자인가 싶어 확인하니 그러하구나.
이제야 알았다. 蠶室이라고.

그건 그렇고
‘비단을 펼친다’ 하니 ‘접힌 비단길’도 생각난다 — dark web의 Silk Road.
문제 사용자가 많았지만 본래 서비스는 멀쩡하던 사이트들이 여럿 닫혔다.
가는 곳마다 “This Hidden Site Has Been Seized”라며 FBI의 힘이 보였다.

NVIDIA GTC 2022에서

NVIDIA GTC 2022에서

Voice & Behavioral Biometrics – Enhanced Security Through Voice Analytics

Presented by Dell Technologies [A41412]

https://register.nvidia.com/flow/nvidia/gtcfall2022/attendeeportal/page/sessioncatalog/session/1658808543794001XuSM

Synthetic identity fraud is one of the fastest-growing types of financial crime. At the same time, combining AI-powered voice biometric & behavioral analytics systems is considered one of the safest data protection methods in modern-day cybersecurity. In this panel, we discuss the pros and cons of this approach, e.g., in banking and financial services. Panelists share key considerations and provide insight into the neural nets, and the Dell-NVIDIA technologies that can help prevent fraud and identity theft.

https://static.rainfocus.com/nvidia/gtcfall2022/sess/1658808543794001XuSM/supmat/A41412 – Voice & Behavioral Biometrics – Enhanced Security Through Voice Analytics (Presented by Dell Technologies)_1663693327033001rqdV.pdf

2022-08에 마무리하지 않은 내용들과 잡다한.

2022-08에 마무리하지 않은 내용들과 잡다한.

Snowball Earth, kill-web

https://en.wikipedia.org/wiki/Snowball_Earth

https://shepherdsheart.life/blogs/news/explosive-darpa-snowflakes-coming-your-way

https://www.lockheedmartin.com/en-us/news/features/2021/advancing-kill-web-capabilities-for-21st-century-warfare.html

표현

serene, tranquil, calm 차이를 두고 사용하기
(placid도)

Some stats and …

https://nwn.blogs.com/nwn/2022/06/blockchain-metaverse-platforms-active-users-count-decentraland-sandbox-1.html

https://www.nft-stats.com/collection/decentraland

https://dappradar.com/ethereum/games/decentraland

Email address 관련 이것 저것 확인하기 전에

https://www.verifyemailaddress.org/

Security, ransomware 기사에서 최근 눈에 들어온 이름

Black Basta

https://www.trendmicro.com/vinfo/us/security/news/ransomware-spotlight/ransomware-spotlight-blackbasta

Shareholder activism (주주행동주의)

Theme: Overlay by Kaira __
Fury Road, Plu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