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Logs

from aesthetic self-becoming to identity

from aesthetic self-becoming to identity

우연히 오늘 다른 맥락에서 눈에 들어온 몇 개념 등에 통하는 구석이 살짝 있어서
그것들을 적어 본다.
구체적 생각은 app Concepts에 작성하였는데 여기에는 키워드들만.

aesthetic self-becoming

ekphrasis

visual identity (by Jean-Marie Floch)

mimesis

existential risk

The Sickness unto Death (Sygdommen til Døden)
by Søren Kierkegaard in 1849 under the pseudonym “Anti-Climacus

theory of positive disintegration (TPD)

결국 identity에 관한 생각으로.


그건 그렇고

“Anti-Climacus” is one of the pseudonyms used by Søren Kierkegaard, a Danish philosopher and theologian. It is the pseudonym under which he wrote some of his most important religious works, including “The Sickness Unto Death” and “Practice in Christianity.”

The meaning of “Anti-Climacus” can be understood in contrast to another pseudonym Kierkegaard used, “Johannes Climacus.”

  • Johannes Climacus: This pseudonym is associated with a more objective and philosophical approach to Christianity. He often writes from the perspective of someone who is not a Christian but is exploring Christian ideas and concepts.
  • Anti-Climacus: This pseudonym represents a more subjective and passionate Christian voice. He writes as someone who is deeply committed to Christianity and is striving to live a life of faith.

The “Anti-” prefix in “Anti-Climacus” suggests a contrast or opposition to Climacus. While Climacus represents a more intellectual approach to Christianity, Anti-Climacus embodies a more lived and experienced faith.

Kierkegaard’s use of these pseudonyms allows him to explore different aspects of Christian faith and experience from various perspectives. Anti-Climacus, in particular, gives voice to the struggles and triumphs of the Christian life, providing a more personal and emotional perspective on religious faith.

위의 내용은 Gemini Advanced에 물어 구한 답

Daz 3D도 image generation 서비스를 제공

https://www.daz3d.com/ai-studio에서 DAZ AI STUDIO > AI Studio

Daz 3D다운 특장점을 가졌다. https://www.daz3d.com/ai의 설명에서 일부 가져온 것이 아래 이미지.

커뮤니티의 반응은 그리 호의적이지는 않다. 이런 서비스에 관심 가진 사람들은 이미 대단한 품질의 결과물을 생성하는 서비스들을 충분히 경험하였기에.

이하는 캐릭터 선택 없이 여러 실험 (이미지 자체는 별 의미 없지만 실험이니까)

여기까지 적고 게시하면서 featured image를 고르는 단계에서 WP에게 쓸 이미지를 생성시켰다. 호. 글의 내용을 제법 알아 보고 이미지를 만들어 주었다. 이것 써 보자.

Objective correlative

Objective correlative

이런 저런 주제와 “identity”를 연결하여 검색하다가 “The Confidential Clerk”(https://archive.org/details/in.ernet.dli.2015.547673/page/3/mode/2up)에 관한 논문을 발견.

그 김에 Thomas Stearns Eliot OM에 관해서도 뒤지고, “objective correlative” 개념에 시선이 꽂혀 아래 시도 찾게 되었.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https://www.poetryfoundation.org/poetrymagazine/poems/44212/the-love-song-of-j-alfred-prufrock
https://www.poetryfoundation.org/poetrymagazine/issue/70350/june-1915

https://openlibrary.org/books/OL24203666M/Collected_poems_1909-1962

Objective correlative는 문학에만 적용할 개념이 아니겠다. 이름 붙일 생각은 못 했으나 (이미 누가 정리한 개념일 것으로 생각하고 검색한 적도 없고) 내가 매우 자주 생각하는 것이다. (사실 이 이야기를 자세히 적고 싶은데 시간이 없다. 일단 이 게시물의 분류는 연구 log와 musing으로.)

T. S. Eliot이 Harvard에서 Bertrand Russell의 대학원생 대상 철학 세미나 학생이었다 하여 둘의 이름으로 검색했는데 생각 못한 종류의 어떤 사실에 관한 웹페이지가 잔뜩 나타난다. 😑 그나마 점잖은(?) 것으로 하나 가져오자면 — “Secrets of TS Eliot’s tragic first marriage and liaisons to be told at last”


적고 있는데 교보문고에서 광고 텍스트가 왔다. 내용은 아래:

제러미 리프킨의 역작 『회복력 시대』 11월 1일 전세계 동시 출간!
……
세계적인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은 8년의 집필 기간 끝에
그가 50년에 걸쳐 글로벌 경제와 사회, 거버넌스 혁신, 기후변화 등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집대성 해냈다.
……
https://emsprd1.kyobobook.co.kr/0EMz116654534

“The Age of Resilience: Reimagining Existence on a Rewilding Earth”가 원제. 한국어판 제목은 “회복력 시대: 재야생화되는 지구에서 생존을 다시 상상하다”
한국어판 제목이 원제를 그대로 옮겼고 표현도 깔끔한데, 왜 내게 원제는 단숨에 뜻이 와닿고 한국어판 제목은 그렇지 않은가.

Resilience에 관해 자주 생각하고 있기에 눈에 걸렸다.


어떤 논문(김병선. (2021). 거울, 자화상, 셀피 : 자기-이미지 제작을 통한 자기인식의 이론적 계보. 커뮤니케이션 이론, 17(2), 48-92)을 다운로드하는데 추천논문 기능이 눈에 띄어서.

위 논문에서 일부 (책의 54쪽, 55쪽):

http://www.thenietzschechannel.com/correspondence/eng/nlett-1889.htm
Dokan Library

Dokan Library

Keybase의 Files의 “Open in Explorer”를 enable하려니 Dokan Library라는 것을 설치하는구나.

http://dokan-dev.github.io/

“user mode file system for Windows”라 소개하고 있다. 음. 잊고 있던 User-mode Linux(이것도 줄임말이 UML, https://user-mode-linux.sourceforge.net/)가 떠오르고오! 어찌 그것을 잊고 있었을까.

그래 “user mode”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gettingstarted/user-mode-and-kernel-mode

Jonathan Whitaker님의 AIAIART, The Generative Landscape

Jonathan Whitaker님의 AIAIART, The Generative Landscape

YouTube의 Computerphile에 올라온 새 영상 https://youtu.be/-lz30by8-sU 을 보고 발견한 좋은 자료

나는 Twitter에서 follow 대상 수 제한때문에 보조 계정인 phaidalos로 이 분을 follow

https://github.com/johnowhitaker/aiaiart

https://johnowhitaker.github.io/tglcourse/

https://www.nottingham.ac.uk/computerscience/


그건 그렇고 Tweet을 embed하는 블록을 사용하니 embed된 내용을 내가 손댈 수 없고 hyperlink 웹 페이지가 현재 창에 열리는 것을 새 창에 열리도록 바꿀 수 없다. 싫.

장소성, placeness, 장소감, sense of place, 장소정체성, place identity (업데이트 중)

장소성, placeness, 장소감, sense of place, 장소정체성, place identity (업데이트 중)

Neuroarchitecture study group’s monthly seminar 10월 참석 후 여러 이어 갈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그 전에 내게는 낯선 용어이지만 중요한 개념인 ‘placeness’를 살펴야 하겠기에 검색한 내용 일부를 일단 적고 정리는 시간 나는 대로 이어 하기로.


“하이데거적 장소성과 도무스의 신화”

https://blog.naver.com/archidemia/221548906050

이 분께서 같은 제목으로 내신 책이 있어 그 출판사 “아키텍스트”의 정보를 찾으니 “공간”지에서 이를 “아키텍스트는 건축 전문지 등에 소개된 동시대 저자의 글을 하나의 주제로 엮어내는 출판사”라 소개한 것이 보인다. 아키텍스트의 웹사이트는보이지 않아 그 책 정보는 교보문고의 것으로 대신한다.

ISBN: 9788998573119 ( 8998573113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60623390

서언: 공간에서 장소로

공간이야말로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다른 이유를 차치하더라도 비움의 공간이 건축의 쓸모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건축의 실체가 공간임을 수백 년 전에 이미 중국의 노자가 선포했다고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가 주장했던 레토릭은 흥미롭다.1 근대적 의미에서 공간을 건축의 핵심적 속성으로 보고 논의를 전개시킨 것은 고트프리트 젬퍼Gottfried Semper, 아우구스트 슈마르조August Schmarsow 등 19세기 독일의 저술가들이었다. 라이트를 비롯한 대부분의 모더니스트 건축가들이 공간을 주요 화두로 삼았던 것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고 하겠다. 근대 건축사의 캐논으로 간주되던 지그프리트 기디온 Sigfried Giedion의 『공간, 시간, 건축』(1941)이 공간을 강조한 바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20세기 후반 국제주의적이고 기능주의적인 근대 건축이 공격을 받게 되는 가운데, 공간의 추상성은 그 비판의 타깃이 되곤 했다. 데카르트적 공간이 함의한 균질성과 무한 확장성이 각 지역의 장소성을 외면하며 전 세계를 동질화시키는 주범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9페이지, 김현섭)

건축 거주 사유
우리는 다음에서 거주와 건축에 관해 사유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건축에 관한 사유는 건축의 논리를 찾아내거나 혹은 심지어 건축에 규칙을 부여하려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서 시도하는 사유는 건축을 건축예술과 기술로부터 서술해 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건축이 속하는 존재의 영역으로까지 건축을 추적하려고 한다.
이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질문한다.

거주란 무엇인가?

건축은 어느 정도까지 거주에 속하는가?
우리가 거주를 목적으로 한다면 우선 건축을 통해야 비로소 도달할 것처럼 보인다. 전자, 즉 건축은 후자, 즉 거주를 목표로 삼는다. 그런데 모든 건축물이 주거 건물은 아니다. 다리, 비행장, 경기장, 발전소는 건축물이긴 하나 주거 건물은 아니다. 기차역, 고속도로, 댐, 시장 등도 건축물이긴 하나 결코 주거 건물은 아니다. 그렇지만 위에서 언급한 건축물들은 우리가 거주하는 영역 안에 서 있다. 이 영역은 이 건축물들의 바깥으로 확장되어 있지만, 거꾸로 이 영역을 주거로 한정할 수도 없다. 트럭 운전사는 늘 고속도로에서 일한다.

(45페이지, 마르틴 하이데거)

장소의 현상
우리의 일상적 삶은 구체적인 ‘현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사람으로, 동물로, 꽃과 나무와 숲으로, 돌과 흙과 나무와 물로, 마을과 거리와 집들과 문과 창과 가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것은 해와 달과 별들로, 흐르는 구름으로, 밤과 낮과 변화하는 계절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느낌과 같이 뭐라 꼭 꼬집어 말할 수 없는 더 많은 현상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주어진 것’, 즉 우리 실존의 ‘내용’이다. 그래서 릴케는 “여기서 우리는 집, 다리, 분수, 입구, 주전자, 과일 나무, 창문, -기껏해야 기둥, 탑을 말해야 할 것이다”1라고 말한다. 그 밖의 모든 것, 예컨대 원자와 분자, 숫자, 그리고 모든 종류의 ‘데이터’는 일상적 삶의 도구와는 다른 목적에 봉사하도록 구축된 추상물 혹은 도구이다. 오늘날 도구를 실재로 착각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우리에게 주어진 세계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것들은 복잡하면서도 아마도 모순되는 방식으로 상호 연관되어 있다. 가령 그 현상들의 일부는 다른 것들로 이루어질 것이다. 숲은 나무들로 이루어져 있고, 도시는 집들로 이루어져 있다. ‘풍경’은 그런 포괄적인 현상이다.

(87페이지, 크리스티안 노르베르그 슐츠)

홍성희, 박준서, 임승빈. (2011). 장소성 정의 및 개념 연구 . 한국경관학회 학술발표대회, v.2011(n.1), 39-52.

https://www.auric.or.kr/User/Rdoc/DocRdoc.aspx?returnVal=RD_R&dn=314111

위 논문은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AURIC) https://www.auric.or.kr/ 에서 찾았는데 이곳에는 읽은 이들이 평을 적을 수 있구나. 자신의 공부,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었고 고맙다는 평들이 적혀 있다.


서동진, 김주연. “장소정체성을 위한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 비교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 17, pp.263-273, 2022.

Seo Dongjin, Kim Jooyun. “A Comparative Study of the Multi-Meaningful Concept of Placeness for Place Ident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vol. 17, pp.263-273, 2022.

https://kiss-kstudy-com-ssl.openlink.knsu.ac.kr:8446/thesis/thesis-view.asp?key=3946672


홍성희, 박준서, 임승빈. “환경계획ㆍ설계를 위한 장소성 개념 연구: ‘Sense of Place’와 ‘Placeness’ 용어 비교 분석”. 한국경관학회지, vol. 3, pp.14-29, 2011.

Hong Sung Hee, Park Joon Seo, Im Seung Bin. “A Study on the Concept of ‘Sense of Place’ for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Journal of the Korea Landscape Council, vol. 3, pp.14-29, 2011.

https://kiss-kstudy-com-ssl.openlink.knsu.ac.kr:8446/thesis/thesis-view.asp?key=3660911

place authenticity, place memory

NVIDIA GTC 2022에서

NVIDIA GTC 2022에서

Voice & Behavioral Biometrics – Enhanced Security Through Voice Analytics

Presented by Dell Technologies [A41412]

https://register.nvidia.com/flow/nvidia/gtcfall2022/attendeeportal/page/sessioncatalog/session/1658808543794001XuSM

Synthetic identity fraud is one of the fastest-growing types of financial crime. At the same time, combining AI-powered voice biometric & behavioral analytics systems is considered one of the safest data protection methods in modern-day cybersecurity. In this panel, we discuss the pros and cons of this approach, e.g., in banking and financial services. Panelists share key considerations and provide insight into the neural nets, and the Dell-NVIDIA technologies that can help prevent fraud and identity theft.

https://static.rainfocus.com/nvidia/gtcfall2022/sess/1658808543794001XuSM/supmat/A41412 – Voice & Behavioral Biometrics – Enhanced Security Through Voice Analytics (Presented by Dell Technologies)_1663693327033001rqdV.pdf

Theme: Overlay by Kaira __
Fury Road, Plu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