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so known as wire cutters, diagonal cutting pliers, diagonal cutters, side cutters, dikes or Nippy cutters) …
Diags or dikes is jargon used especially in the US electrical industry, to describe diagonal pliers. “Dike” can also be used as a verb, such as in the idiom “when in doubt, dike it out”.
In the United Kingdom and Ireland, diagonal plier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snips or nippers, and in Canada, Australia and New Zealand they are often referred to as side cutters.
나무위키의 플라이어(plier) 페이지(https://namu.wiki/w/플라이어)는 플라이어의 종류를 니퍼, 펜치(combination plier, lineman’s plier), 롱노즈 플라이어(long-nose plier, needle-nose plier), 트위스터(twister)로 구분하여 설명하는데 펜치의 설명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다:
니퍼보다 규격이 커서 전선을 절단할 때 힘이 덜 들기 때문에 포설 등의 작업을 하는 사람에겐 니퍼보다 더 애용되는 공구이다. 물론 진짜로 굵은 것을 잘라야 할 때에는 니퍼든 펜치든 답이 없기 때문에 볼트 커터 혹은 절단기를 사용해야 한다.
iPhone 14들의 주문일, 출시일이 공개되었다 하여 apple.com/kr에 들어가니 이런 화면이 보인다.
“Apple ‘잠실'”점 소개에 “‘비단’처럼 펼치다”라는 표현을 써 ‘잠실’의 ‘잠’ 자가 ‘누에 蠶’ 자인가 싶어 확인하니 그러하구나. 이제야 알았다. 蠶室이라고.
그건 그렇고 ‘비단을 펼친다’ 하니 ‘접힌 비단길’도 생각난다 — dark web의 Silk Road. 문제 사용자가 많았지만 본래 서비스는 멀쩡하던 사이트들이 여럿 닫혔다. 가는 곳마다 “This Hidden Site Has Been Seized”라며 FBI의 힘이 보였다.
Then-Attorney General Kamala Harris’s lawsuit against Corinthian played key role in Education Department’s work to approve loan discharges for borrowers harmed by Corinthian’s wrongdoing
“As of today, every student deceived, defrauded, and driven into debt by Corinthian Colleges can rest assured that the Biden-Harris administration has their back and will discharge their federal student loans,” said U.S. Secretary of Education Miguel Cardona. “For far too long, Corinthian engaged in the wholesale financial exploitation of students, misleading them into taking on more and more debt to pay for promises they would never keep. While our actions today will relieve Corinthian Colleges’ victims of their burdens,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s actively ramping up oversight to better protect today’s students from tactics and make sure that for-profit institutions – and the corporations that own them – never again get away with such abuse.”
“용감한 형제”라는 소설이 있었다. 여러 권으로 이뤄졌는데 모두 검정 바탕 깔끔하게 이미지 하나를 담은 표지를 하고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중의 표지가 이러한 투구 사진(혹은 그림)을 가지고 있었다. 1986년에 친구의 집에서 친구 것을 잠시 본 것이어서 자세히 기억하지 못한다.
나는 이 “용감한 형제”의 책을 읽지 않았고 1986년보다 오래 전 TV극을 재미있게 보았다. 원작은 미국의 “The Hardy Boys/Nancy Drew Mysteries” (1977–1979, https://www.imdb.com/title/tt0075513/) 내가 아주 어린 시절 방영했는데 동생이 예쁘게 생겼다고 생각했다. (지금 보아도 어여쁘시구나.) 소설이 먼저.
“Corinthian”으로 생각나는 사건도 있다 — 2012년 전라남도 보성에서 보성(형제)교회를 신도 10여 명 규모로 운영하던 박씨(43세, 목사이지만 자격을 갖추지 못했고 내용은 사이비)와 조씨(34세) 부부가 잘못된 믿음으로 나쁜 의도를 가진 이의 교사를 따라 자신의 세 아이들(9세, 7세, 3세; 넷 중 셋)을 여러 날 동안 굶기고 폭행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
그 부부는 아이들을 ‘구하려’ 그런 행동을 한 것이었으며, 폭력은 성경이 말한 내용을 따른 것이라 하였는데 그 일부가 고린도후서(2nd Corinthians) 중 바울이 “유대인들에게 40에서 하나 감한 매를 다섯 번 맞았”다고 이야기한 내용이다.
지금 검색하니 어떤 TV 프로그램에서 이것을 최근에 다루었는데 마침 그 프로그램의 이름이 “용감한 형사들”이구나. 그 요약 영상은 아래: